오늘의 말씀
삼하19:40b-21:14 누가 왕이냐?
1. 앞 다투어 왕을 추대하려는 경쟁과 세바의 반란(19:40b∼20:2)
40-43절 : 하나님 나라의 방해 세력⑴ — 온 이스라엘(왕이 없음, 후안무치)
- 더 강경한 유다 사람(다윗과 하나님 뜻, 19:11-12, 2:4, 3:1b)
1-2절 : 하나님 나라의 방해 세력⑵ — 불량배 세바(왕이 없음, 분열 조장)
-유다와 이스라엘 분열 조장(참조. 왕상 12:16 솔로몬 사후 왕국 분열)
☞ 공동체의 하나 됨을 어렵게 하는 요인과, 왕이 없는 것은 어떤 관계가 있나?
2. 다윗의 아마사 기용과, 요압의 아마사 살해(20:3-13절)
3절 : 다윗의 첫 조처와 다윗의 지혜 ―후궁들을 위한 징계이자 배려
4-7절 : 언약에 신실한 다윗(19:13), 지체되자 아비새에게 세바 추격 명함
8-13절 : 하나님 나라 방해 세력⑶ — 요압(왕이 없음, 교만과 불충성)
☞ 왕과는 전혀 상관없는 자기 욕심만을 위한 하나님 나라 전력 손실(왕상 2:5-6)
3. 지혜로운 여인 — 손실 없이 안정을 되찾은 다윗 왕국(20:14-26)
14-15절 : 어리석은 요압(왕이 없음, 자기 경험만 의지)
16-22절 : 지혜로운 여인—요압의 어리석음을 일깨워 아벨 성 구하고 반란 종료
23-26절 : 개각(각료 명단) — 안정을 회복한 다윗 왕국(비교. 삼하 8:16-18)
☞ 전쟁에서 승리하는 결과보다 전쟁에서 과연 하나님이 왕이셨느냐?가 중요함
☞ 하나님 나라를 견고하게 세우는 일에 하나님과 합력하는 지혜(결단과 용기와 대안 제시)
4. 기근(경고)을 통해 다윗에게 지혜를 주신 하나님(21:1-14)
1-9절 : 하나님 나라 방해 세력⑷ 사울(왕이 없음, 언약 파기)(수9:18-27)
- 기브온 사람들의 요구를 들어 줌(참고. 16:7-8 시므이 저주)
요나단과의 언약 지키고자 므비보셋은 아끼고, 사울 자손 7명 내어줌
10-14절: 리스바 — 애끓는 모정과 저항(?)으로 다윗에게 감동을 줌(기간은 건기)
-‘그 후에야’기도를 들어 기근을 해결해 주심(참고. 24:25)
※ 모든 상황을 주권적으로 섭리하시는, 왕이신 하나님이 주시는 지혜와 겸손
※ 다윗의 지혜 ― 다윗의 왕이신 하나님은, 사울을 통해반면교사를 얻게 하시고 리스바를 통해 큰 감동을 받음으로 깨닫고 지혜롭게 처리하게 하심
☞ 반면교사를 주는 입장과, 하나님 중심적으로 지혜롭게 살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입장
21-24장 사무엘하의 결론(마지막 사건은 왕상 1-2장)
A 경고와 깨달음(지혜)①(사울왕의 과오와 3년 기근) 21:1-14
B 명단① 다윗왕의 용사들 21:15-22
C 다윗왕의 찬송시 — 하나님은 구원자 22:1-51
C、다윗왕의 선지적 예언 23:1-7
B、명단② 다윗왕의 용사들 23:8-39
A、경고와 깨달음(지혜)② (다윗왕의 과오와 3일 온역) 24장